2025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금액 신청방법까지

65세 넘었는데 아직도 기초연금 못 받고 계신가요? 2025년부터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금액 기준이 대폭 완화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나는 해당 안 돼”라고 생각하셨던 분들, 이제 기회가 왔습니다!
자, 그럼 도대체 누가 이 달콤한 34만원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금액 신청

기초연금 수급자격,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아무리 나이 들었다고 해서 기초연금을 그냥 주진 않습니다. 조건이 있죠.

  • 만 65세 이상
  • 대한민국 국적자 (외국인은 꿈도 꾸지 마세요)
  • 국내 거주 (해외 도피했다가 돌아오신 분들, 안타깝네요)
  •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


이 네 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까다롭죠?

2025년, 바뀌는 소득기준

드디어 문턱이 낮아집니다!
그동안 “나는 돈이 좀 있어서…” 하면서 포기하셨던 분들, 희소식입니다!
2025년부터 소득 기준이 올라갑니다. 얼마나 올랐냐고요?

  • 단독가구: 월 228만 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64.8만 원 이하


이 정도면 꽤 많은 분들이 해당될 것 같은데요?

기초연금 재산 종류와 계산방법

기초연금 수급자격을 결정하는 소득인정액 계산에는 다양한 유형의 재산이 포함됩니다.

일반재산 금액

일반재산에는 주택, 토지, 전세금, 자동차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일반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공제액은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 대도시/특례시: 1억 3,500만원
  • 중소도시: 8,500만원
  • 농어촌: 7,250만원

금융재산 금액

금융재산에는 보통예금, 정기적금, 보험, 주식 등이 포함됩니다. 금융재산의 소득인정액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산 평가 시 주의사항

  • 주택의 경우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시세가 7억원인 집이라도 공시가격이 5억원이라면 5억원으로 계산됩니다.
  • 자동차는 차량가액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금융재산은 예금, 적금, 보험, 주식 등 모든 금융자산의 합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 부채는 대출금, 임대보증금 등을 포함하며, 재산 가액에서 차감됩니다.

소득인정액, 그게 뭔데요?

“아니, 나는 월급도 없는데 소득이 뭐야?” 하시는 분들, 잠깐만요!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월급만 따지는 게 아닙니다. 재산, 금융자산, 심지어 부채까지 다 계산에 넣어요. 복잡하죠? 정부가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어놓으니 우리 서민들은 알아먹기 힘들죠.

기초연금 금액,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재산 금액 신청방법
  • 2025년부터는 기초연금 금액도 올랐습니다. 물가 상승률 2.3%를 반영했다는데, 과연 충분할까요?

한 달 생활비로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다는 낫겠죠?

2025년, 뭐가 또 바뀌었나요?

2025년부터는 기초연금 수급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어르신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요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정기준액 인상 : 단독가구 월 228만원, 부부가구 월 364.8만원으로 상향조정되었습니다.
  • 교육비·의료비 공제 확대 : 비동거 직계가족(자녀·손자·손녀 등)의 교육비와 의료비도 소득인정액에서 차감 가능해졌습니다. 이제 손주 학비 대주고, 자식 병원비 내줘도 소득에서 빼준대요. 효자 노릇하면 연금 받기 쉬워지는 거죠?
  • 수급희망 이력관리제도 개선(탈락자 재신청 기회) : 한 번 탈락했더라도 지속적으로 수급 가능성을 확인하고 안내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5년 동안 계속 기회를 준대요. 끈질기게 도전하세요!
  •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 가정폭력으로 고통받는 분들, 이혼 안 해도 기초연금 받을 수 있어요. 세상이 조금은 나아지고 있나 봅니다.

기초연금 신청방법은 어떻게 하나요?

복지로 포털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신청할 수 있어요.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가서 신청하면 됩니다. 온라인으로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 통장사본, 그리고 배우자 있으면 배우자의 동의서, 전월세 계약서(해당자)입니다. 간단하죠?


자, 이제 기초연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025년부터는 더 많은 어르신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죠.
노인 빈곤율이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에서 이 정도 개선으로 충분할까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의 노후, 과연 기초연금으로 해결될 수 있을까요?